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

결핵이란 무엇일까? 증상, 진단, 활동성 및 비활동성, 잠복 흔히 결핵은 오래전 질병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결핵은 예전에 비해서 많이 감소했지만 아직도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만 우리나라에서 약 2만 5천 명의 결핵 환자가 발생했다고 하니 인구 10만 명당 59명으로 선진국, OECD 국가들 중에서 단연 1위입니다. 결핵은 병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결핵약을 꾸준히 잘 복용하시면 95% 이상 완치가 될 수 있는 병입니다. 하지만 일부 환자분들이 결핵약 복용을 중단하셔서 결핵이 내성이 생기고 심각하게 진행해서 사망에 이를 수도 중요한 질병입니다. 통계를 보면 2021년 우리나라에서 1천800명이 결핵으로 인해서 사망하였습니다. 즉 결핵은 아직도 적지 않게 우리를 위협하는 질병이라는 것입니다. 1. 결핵이란 무엇일까? 결핵은 전염병입니.. 2023. 10. 22.
에볼라의 증상, 역사, 원인, 재발견 및 전망 사람들을 죽음의 공포로 몰아넣었던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 들어본 일이 있습니까? 한 때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가 에볼라 바이러스의 공포에 휩싸인 적이 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는 너무도 강력했기에 아직 우리 머릿속에 남아있습니다. 이 에볼라는 그 위험성 때문에 국내에서도 1급 법정감염병으로 분류해서 관리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치사율이 90%에 이르니 그만큼 위험한 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 에볼라 바이러스는 어떻게 발생을 하는지, 에볼라는 도대체 어떤 질병이길래 이렇게 악명이 높은 건지 에볼라의 증상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에볼라의 증상 에볼라는 보통 5일에서 7일간의 잠복가 있으며 잠복기에는 커다란 증상이 없습니다. 잠복기가 지나면 갑작스럽게 독감 증상이 나타납니다. 바로 고열, .. 2023. 10. 22.
홍역은 무엇일까요? 홍역의 원인, 증상, 예방, 치료 및 예후 홍역을 풀이해 보면 붉은 역병이라는 뜻입니다. 바로 온몸에 발생하는 붉은 반점 때문입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본 이 바이러스 감염은 현재 백신이 개발되어 공포스럽게 느껴지지는 않겠지만 백신개발 이전세대에서는 굉장한 전염력으로 악명이 높아 지금도 우리가 흔히 ‘어떤 어려운 일로 홍역을 치르다’라는 관용적 표현을 쓰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홍역은 무엇인지 홍역의 원인, 증상, 예방,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홍역의 원인 홍역이란 홍역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전염병입니다. 홍역 바이러스는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 과에 속하는 모르빌리바이러스 (morbillivirus) 속으로 분류됩니다. 주로 홍역에 걸린 개인이 기침을 하거나 재채기를 할 때, 공기 .. 2023. 10. 19.
뎅기열의 원인, 증상, 예방, 치료 및 예후 2023년 10월 현재 방글라데시에서는 뎅기열에 의한 사망자가 1000명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도대체 뎅기열은 무엇이길래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는 것일까요? 정말 안타깝고 가슴 아픈 일입니다. 뎅기라는 단어는 한국에 흔히 사용하는 단어가 별로 없습니다. 조선시대 때 머리를 따는 댕기동자, 댕기머리라는 말은 들어봤지만 뎅기열이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요? 오늘은 뎅기열의 원인과 증상, 예방,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뎅기열의 원인 뎅기열(dengue fever)은 모기가 매개체가 되어 발생하는,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에 의해 발병하는 전염병입니다. 서구권에서는 "break bone fever"라고도 부르는데 그 이유는 강력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 2023. 10. 19.